페트병 뚜껑을 돌리는 작은 동작 부터 냉장고 문을 열면서 몸을 구부리는 큰 동작까지, 물리적 환경에서 손의 동작 범위는 다양하다.
화면의버튼클릭하기, 손가락옆으로쓸기, 위아래로손가락올리고내리기등 모바일 환경에서는 작은화면안에서손가락이여러방향으로움직여야하기때문에섬세한동작을요구한다.
작동방식도
다양성이필요합니다
자동차트렁크의진화 : 제스처인식
위의 모든 동작은 양 손을 자유자재로 쓰는 사람들에 한정된 이야기입니다. 지난 번 뉴스레터에서도 언급했듯이 양 손을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사람은 몇 백만 명은 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따라서 제품 작동 방식도 다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양 손을 모두 써야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한 손으로도, 더 나아가서는 손으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마련된다면 손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합니다.
좋은예로자동차트렁크가있습니다. 10년전제가몰고다니던 90년대출시된자동차의트렁크를열때는열쇠를트렁크에직접꽂은뒤돌려서트렁크의잠금상태를해지했습니다. 그리고트렁크문을직접위로들어올렸죠. 완전한아날로그방식그자체였습니다. 만약휠체어이용장애인이트렁크를이용한다면위로열려져있는트렁크문을다시닫을때손을높이뻗어야하므로혼자만의힘으로트렁크를이용하기어려웠을것입니다. 그뒤로개선된차량은전동식으로트렁크뒷부분에있는버튼을누르면가볍게문이열렸습니다. 그리고스마트키가보급되면서현재출시되는대부분의거의모든차는스마트키하나만가지고트렁크를열고닫을수있습니다. 또한사람이스마트키를가지고차량후방에서있으면자동으로트렁크문이열립니다. 스마트테일게이트smart tailgate 라고불리는기능인데요. 양손에물건을가득들어양손을자유롭게쓰지못하는사람에게도유용하지만, 휠체어이용장애인이나한손을가지고있는사람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화면에서사용자의시선을따라움직이면서원하는명령을실행할수있는방법이계속해서확장되고있습니다. 뇌성마비, 척수손상, 파킨슨병등으로인해스크린화면을정교하게터치하기어려운사람들에게도편리함을줄수있기때문입니다. 사용자의 시선을 활용하는 기술이 보편화 되기 전에는 별도의 스위치를 활용해 핸드폰이나 테블릿을 작동했습니다. 2018년유럽사회혁신임팩트프라이즈에서수상한마우스포올Mouse 4 All 이 그 예입니다.자체적으로개발한장치를스마트폰이나태블릿에연결하고 머리 쪽 스위치, 혹은 입을 활용한 스위치 등을 연결하면 사용자가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서도버튼을누르거나 이동할수있습니다. 다만 특수 보조기구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널리 확장되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구글의실험프로젝트로출시된어플리케이션인룩 투스피크Look to Speak에서는 본격적으로 사용자 시선을 활용한 기술이 실제 앱에 적용된 사례를 보여줍니다.이들은손사용에어려움이있는사람뿐아니라언어로소통하는데어려움이있는전세계수백만명의사람에게주목했습니다. 앱사용방식은매우직관적입니다만눈을좌우로계속해서움직여야하는약간의어려움은있습니다. 눈이 아프다는 솔직한 피드백을 준 사람도 있습니다. 우선 앱을켜면 미리작성된단어와문구를선택할수 있는데요. 복잡한이동없이좌측과우측을바라보는두가지선택지가제공되며시선을위로올릴경우취소하거나반복할수있습니다. 최종적으로문구가선택되면해당문장을어플리케이션이대신하여말해줍니다.
가장 좋은 디자인은 '접근 가능한 디자인'이라고 말했던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자 오바마 정부 접근성 자문 위원인 카렌 브렛마이어의 말이 떠오릅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 정보를 찾고, 콘텐츠를 읽고 보는 모든 활동들은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공평하게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1) 따라서 손 으로 터치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터치하지 않고도 작동할 수 있는 대안이 항상 마련되어야 합니다.
2) 동일한 제품과 서비스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에 대한 생각이 뒷받침 되어야하는 것이죠. 누군가는 손으로 터치를 하지만, 누군가는 손가락 마디로 터치를 합니다. 또한 애플의 접근성 필름에서 나온 것처럼 누군가는 손으로 운전을 하지만 누군가는 양 손이 없어서 발로 운전을 하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3) 더 세밀하게 본다면 같은 동작도 조금 씩 다른 심리를 가진 사용자가 있고, 동일 동작을 수행하기까지 각기 다른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모바일 화면에서 버튼을 클릭하는 데도 '이게 잘 눌리는건가?' 약간의 의구심을 품은 어르신들의 경우처럼 꾹꾹 누르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손에 많은 떨림이 있는 뇌병변 장애인 처럼 정확하게 위치를 잡아서 누르는 데 불편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대안을 알아보았지만 다음에는 제품과 물리적 환경에서 '손'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제공해야할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션잇은 관찰의 힘을 믿습니다. 사람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일상에서 포용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인사이트를 발굴합니다. 그동안 소외되었던 장애인, 고연령층이 가진 사용자 경험 연구에 최고의 전문성을 추구합니다.